살아가면서
마주치게 되는 일 중에는 감사하는 것과 감사하지 않은 것이 있다.
모든 것이 낯설었던 호주이민 정착
시기에 예기치 못한 일들로 당황하고 실망스러웠던 때가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 또한 지나가리라“ “감사합니다”를 습관처럼 입어 달고 힘겨웠던 시간을 견디어 냈다.
돌이켜보면 그로 인해 더 큰 기쁨과 감사한 일이 생겼기에
감사하면 참된 행복이 가슴 속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가끔은 생각보다 한 폭의 명화가 삶의 태도와 관점을 바꾸는 데에 커다란 힘을 발휘한다.
오늘은 해저무는 들녁, 경건한 감사 기도를 올리는 장프랑수아 밀레의 만종(The Angelus)을 감상해보자.
장 프랑수아 밀레(Jean-François Millet, 1814~ 1875년)는 프랑스의 화가로, 그는 어린 시절부터 농부들의
삶을 관찰하며 자라났으며
프랑스의 한 지방에 위치한 바르비종파(Barbizon School)의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농부들의 일상을 그린
작품으로 유명하며, '사실주의(Realism) 혹은
자연주의(Naturalism)의 일원으로서
농부들을 주제로 많은 그림을 그려서 그를 농부 화가라고 불린다.
만종의 원제목인
'L'Angélus'는 '삼종기도'를 뜻하며
'삼종(三鍾)'은 3번 종 치고
잠시 멈추었다가 3번 다시
치는 식으로 계속되는 타종의 의미한다. 만종은 한자로 '晩鐘'이니 우리말로 하면 '저녁종'이다.
이 그림에서 저 멀리보이는 교회뽀족한 탑을 배경으로 침묵이 흐르는
벌판과 일터에서 종소리를 듣던 부부는
감자를 캐던 중 멈춰서 저녁기도를 한다. 그리고 농부아내의 흙투성이
앞치마가 노동의 고단함을 나타내며
주어진 삶의 조건을 피곤한 일상이 아닌 경건한 감사로 승화시킨다.
감사하며 기도한다는 것은 멈추어 침묵 속에서 신의 소리를 듣는
것이다.<감사하며 달라지는 것들> 저자인
제니스 캐플런은 감사일기를 쓰면 눈앞의 시련을 극복할 수 있는 넓은 시야를 갖게되고 우리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지금 자신의
삶이 고단하다면 잠시 멈춰서서 감사일기와 감사기도로 침묵해보자!
그러면 비로서야 들리는 평안의 세계를 경험하게 될것이다.
BY리디아
'미술이야기 > 리디아의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오날의 풍경 (0) | 2018.06.13 |
---|---|
샤갈의 사랑 < 도시 위에서 Over the Town> (0) | 2018.06.06 |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The Kiss 키스> (0) | 2018.05.23 |
사유하는 미소 (0) | 2018.05.16 |
사랑으로 꾸짖는 참 스승: 김홍도의 ‘서당’ (0) | 2018.05.09 |